본문 바로가기

예전 글/견문

읽은 책 짧게 정리 - 미치오 카쿠 - 마음의 미래

근로장학+20학점 학기가 끝났다. 근로를 하는 동안 시간이 남아 책을 읽기 시작했다. 이대로 읽다보면 한 권을 읽고 한 권을 잊을 성싶어 메모로 남겨두어야겠다.



  페이스북에서 하는 김영사 이벤트에 당첨되어 미치오 카쿠 선생님을 직접 뵈었다. 만나뵌 김에 책에 사인이나 받아야겠다 싶어 바로 전날 구매했다. 계획 외의 독서였다. 책을 샀으니 읽어야지. 이론물리학자의 관점에서 신경과학 연구가 어떻게 보일지 + 그래도 비전공자인데 얼마나 내용을 잘 담았을지 감히 궁금하기도 했다. 내용이 많지만 가벼운 문체로 서술되어 쉽게 읽었다. 짧은 장에 하나의 주제를 집중적으로 논하고, 그 주제에서 생겨나는 궁금증을 다음 장에서 언급하는 식이었다. 차례를 보고 한 장만 찾아보아도 독립적으로 읽을 수 있으면서 전체적으로 보아도 흐름이 끊기지 않는다. 책을 많이 써본 경험이 묻어나는 구성이다. 이론물리학자의 관점보다는 미래학자의 관점이 돋보이는 책이다. 그래서 기술을 낙관적으로 바라보는 부분이 많다. 그렇기에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중간중간 역자의 딴지도 재미있었다. 

  인상적인 부분은 인텔이 연구중이라는 캡톰(나노 단위로 구성되어 소유자의 명령에 따라 스스로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기계), 생물정보학적 관점으로 바라보는 인간의 진화, 그것은 곧 뇌의 진화였다, 그러나 인간 뇌는 구조적으로 이미 극한에 다다랐다 등.

  DNA가 변화한 양과 시대를 추적하여 사람의 진화를 추정하는 내용이 기억에 남은 이유는, 이미 3년 전 전공수업에서 그 원리를 배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나는 그 내용을 내가공부할 분야에 적용할 생각은 전혀 하지 않았다. 그렇게 잊었던 지식이 교양서에서 새삼스럽게 마음에 접목되는 것을 보니 내 분야가 아니리라 도외시했던 내가 부끄러웠다. 지식은 얼마나 아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떻게 잇고 적용하는지가 중요하다. 당장 나중에 써먹을 부분이 보이지 않아 경시하는 태도는 버려야 한다. 좋아하는 분야만 파고드는 독서 편식도 고쳐야 한다.

  인간 뇌가 이미 한계에 다다랐다는 내용이 인상적인 이유는 며칠 전에 했던 상상 때문이다. 인간의 지각과 인지 체계로 알아낼 지식이 한정적이라면, 우리는 영원히 완전히 알 수 없는 세계를 탐구하는 것은 아닐까. 끝내 도달하지 못할 목적지를 향하는 항해라 생각하니 서글펐다. 책에 언급된 사람의 뇌가 더 컸다면 우리는 출생하지 못했을 것이며 대사열에 의해 제대로 유지되지도 못했으리라는 것, 뉴런의 축삭이 지금보다 굵었거나 얇은 구조도 불가능하다는 내용은 내게 위로가 되었다. 이해할 수 있는 만큼 세계를 이해하는 것은 자체만으로도 의미있는 항해이다. 어쨌든 우리는 우주를 이해할 수 있는 생물이다. 게다가 이 기나긴 여정으로 인류는 도구적으로도 많은 성과를 얻었다. 

  너무나 낙관적인 관점과 서술이 거슬릴 때가 있었다. 책에서 어떤 연구나 기술을 소개하는 방식은 기초적인 단계에 있는 연구를 설명하고 이것이 후에 이렇게 저렇게 되리라 설명하는 식이었다. 그런데 책을 읽으며 '그가 소개한 내용이 과연 실제와 일치하나?' 하는 생각이 자주 들었다. 예를 들어, 인공 소뇌를 만들었다!는 연구는 알고보니 어떤 동작에 대한 입출력을 재현하여 소뇌 없이도 그 동작을 대신할 수 있도록 한 연구였다. 정말 대단한 연구 성과이지만, 인공 소뇌라 표현하기는 아직 부족하다. 단순한 전망이랄 수도 있다. 이론물리학자의 서술이니 '물리적으로 불가능'한 내용은 아닐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서술 방식은 독자들이 사실을 헷갈리게 만든다. 나는 내가 캡톰을 사실 그대로 이해했는지 잘 모르겠다!

  그러나 '미래학자의 관점'은 위험하다. '과학기술은 결국 인류 전체에 도움을 준다'는 관점은 기술 발달의 과도기와, 전체에 들어가지 못한 소수의 사람들을 무시한다. 소수도 아니다. 카쿠는 근대 기술이 양극화를 초래하는 듯 보여도 결국 모두가 그 혜택을 누리게 되었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금 현재조차 지구상에 컴퓨터를 본 적도 없는 사람이 컴퓨터를 쓰는 사람보다 훨씬 많다. '언젠가 유토피아가 올 것'이라며 기술의 좋은 점만 이야기하는 미래학자는 좋은 점만 이야기하는 예언자와 다르지 않다. 책임지지 않을 행복한 미래에 치중하기보다는, 차라리 기술적인 발전을 따라가지 못하는 사회, 철학적 환경을 이야기하며 이에 대비해야 한다는 내용을 많이 넣었따면 좋았을 성싶다(기술의 부작용을 아예 언급하지 않는 것은 아니나, 너무 비중이 적었다).

  마지막으로, 이렇게 넓고 많은 내용을 비전공자가 썼다는 사실이 신기하다. 방대한 내용을 거시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관점은 전공보다는 연륜에서 나온다. 나도 이제 공부할할 분야는 선택했으니, 후에 어떤 세계와 마주쳐도 쓸 수 있을 통찰력과 연륜을 기르고 싶다.